sigmoid function의 이해
a값이 클수록 기울기가 급해진다. b값은 그래프의 좌우이동을 의미한다. sigmoid(x) = 1 / ( 1 + e^(-x)) 이때 x는 ax + b형태로 표현되며, 여기서 a는 기울기를, b는 y절편을 나타낸다. 여기서 a값과 오차값은 반비례관계를 형성한다. a값이 커질 수록 sigmoid 함수의 기울기가 커지게 되는데, 이는 입력값에 대한 출력값의 변화를 더욱 민감하게 반영하게 된다. 즉, 입력값의 작은 변화에도 불구하고 출력값이 크게 변화하는 것. 이로 인해, 실제 값과 예측 값 사이의 오차가 줄어들게 되는데, 이는 모델이 데이터를 정확하게 학습하게 되어 오차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러나 a값이 너무 크면 Overfitting의 위험이 있으므로 적절한 a값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다만, 이..
AI/Machine Learning
2024. 2. 4. 13:15